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장애인 안내견은 수술실이나 조리실 같은 일부 장소만 제외하고 어디든 갈 수 있도록 법이 바뀌었죠. <br> <br>하지만 실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. <br> <br>택시를 잡기도 어렵고 카페에서도 문전박대 당하기 일쑤인데요. <br> <br>다시 간다, 김승희 기자가 동행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시각장애인 최상민 씨와 5년째 최 씨의 눈이 되어주고 있는 안내견 나감이. <br> <br>[현장음] <br>"갑시다. 나감이 왼쪽." <br> <br>최씨가 택시를 잡아보지만 차가 멈추는 소리는 들리지 않습니다. <br> <br>보다 못해 나선 기자의 목소리만 울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택시, 택시!" <br> <br>속도를 늦추다가도 나감이를 보고는 지나치는 택시들. <br><br>나감이 눈에는 다 보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나감이 보고 그냥 지나가시네요.) 그런 경우가 많아요." <br> <br>8대를 보낸 후에야 겨우 탔습니다. <br> <br>이어 방문한 카페와 노래방에서도 모두 입장을 거부당했습니다. <br> <br>[노래방 사장] <br>"절대 애완견은 안 돼요. 거기서 오줌 쌀 수도 있고." <br> <br>[최상민 / 시각장애인] <br>"법이 바뀌었는데 왜 안 되는 거지? '개는 안 된다'가 너무 저는 인상 깊게 박혀가지고. 개는 안 돼도 안내견은 돼야 하는 건데." <br> <br>예비 안내견 파도가 겪는 시선은 더 따갑습니다. <br> <br>버스에 올라타자 시선이 집중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렇게 큰 개를 차에 태운다는 게, 혹시 여기서 무슨 일이 생기면 오고 갈 데가 없잖아 큰일 나잖아. 그래서 의아했어요." <br> <br>카페도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강아지는… (안내견이거든요.)" <br> <br>불편한 눈빛이 고스란히 느껴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계속 여기서 드시고 가시는 거예요?" <br> <br>[박혜영 / 예비안내견 자원봉사자] <br>"딱 들어가니까 이제 그 거부하겠다는 그런 표정이. 한숨 푹푹 쉬면서." <br> <br>제도는 바뀌었지만 인식은 여전히 그대로입니다. <br> <br>[박솔이 / 시각장애인] <br>"거부하려고 마음먹으신 분들께서는 '그냥 나 그냥 벌금 내겠다.'" <br> <br>길에서 안내견을 만나면 말을 걸거나 사진을 찍으면 안 됩니다. <br> <br>안내견이 집중해서 걷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.<br> <br>[유석종 / 삼성안내견학교 프로] <br>"꼭 인사를 좀 나누고 싶다, 그러시면 인사를 좀 나눠도 될까요"라고 물어보신 다음에…" <br> <br>안내견이 어디든 갈 수 있도록 법이 바뀌었으니 남은 변화는 우리 몫입니다. <br> <br>[최상민 / 시각장애인] <br>"시각장애인의 눈이잖아요. 눈을 밖에다 두고 몸만 들어오라는 거랑 똑같은 건데요." <br> <br>다시 간다, 김승희입니다. <br> <br>PD : 홍주형 <br>AD : 박민지 <br>작가 : 신채원 송우진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